부동산 하락은 외곽에서 부터

2021. 12. 14. 14:11헤에취님의 글(딴지게시판)

딴지 게시판 헤에취님의 글 발췌입니다.

 

==================================

 

1. 과거 미국, 왜국의 부동산 폭등과 시장 붕괴 후 나타났던 시장 재편 현상을

   살펴보면 오히려 중앙 집중이 훨씬 더 심하고 깊게 나타남.

 

2. 지금 뉴욕 맨하튼 집, 아파트, 오피스텔 가격은 금융위기 때보다

훨씬 비싸졌고, 팬데믹 겪으면서 한 번 더 떡상해서 아에 동화 속에나

나올 가격이 되버렸음.

천조국이라서 그런지 맨하튼 고급맨션은 천억이 넘는 매물도 있음.

 

3. 왜국도 시장 상황은 미국과 마찬가지로 붕괴 후 크게 하락했지만

곧 회복하고 상승 후 고착화됨. 그래서 도쿄 올림픽 선수촌 아파트가

비교적 많이 저렴해서 엄청나게 인기였다고 함. 

 

4. 우리나라에서 나타나는 하락세는 붕괴없이 나타나고 있다는 특징이 있고,

연착륙 냄새를 풍긴다는 긍정적 해석이 가능함. 미국이나 왜국의 시장 재편과

확연히 차이가 있음. 

 

5. 지금 언론에서 나오는 아파트 가격 하락, 전세 매물 급증과 같은 기사를

반박하며 여전히 가격이 높거나 유지되는 지역이 있다는 반론도 있으나

이는 시장 분리의 전조증상으로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

 

6. 국가적 대출뽕이 끊기면 금단현상은 시외곽부터 나타나며 가격 하락이 가시화됨.

시 중심지 아파트들은 지지세력이 멀쩡히 거주하고 있거나 여전히 여유가

있기 때문에 대세하락기에도 자체 돈뽕으로 존버해버림.

 

7. 하락세가 나타나고 있다는 건 긍정과 부정의 신호를 동시에 가지고 있음.

아파트 가격이 안정화 되고 있다는 것과 원리금 상환 압박으로 가계 소비 위축이 

커지고 있다는 위험성을 가지고 있는거임.

 

8. 오른 것에 비해서 아직 멀었다라는 시각이 있지만 부동산 가격은 물가상승에 따라

꾸준히 오르는 것이 정상임. 폭등해도 문제이지만 역행한다면 더 큰 문제.
 

9. 자신의 아파트 가격이 보합세이거나 작지만 하락세를 보이는지 면밀히 살펴봐야 함

 

10. 그래서 차기 정부의 공급 분산 노력이 절실하다고 할 수 있음.

양질의 공공주택을 대규모로 공급할 수 있어야 붕괴도 없을테고

시장 수요도 분산되어 가격 붕괴가 아닌 가격 안정화가 이루어질테니.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