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4. 1. 06:19ㆍ중국 휴대폰
광고 클릭 부탁드립니다!
=============================================
1. 현대차 자율주행 포티투닷, 1700억 영업손…아직 '죽음의 계곡' (비즈워치)
- 현대차그룹이 인수한 자율주행 스타트업 42dot은 5년 연속 적자를 기록
- 2024년 42dot의 매출은 전년 대비 38.5% 감소한 250억원, 영업손실은 1,761억원으로 적자폭이 확대
- 현대차와 기아는 올해 4,876억원을 추가로 투자할 예정
현대차 자율주행 포티투닷, 1700억 영업손…아직 '죽음의 계곡'
현대자동차그룹이 2022년 인수한 자율주행 스타트업 포티투닷(42dot)이 '죽음의 계곡'을 넘지 못하고 있다. 죽음의 계곡은 기술 개발에 성공한 스타트업이 사업 상용화전까지 실적 악화 등으로 겪
news.bizwatch.co.kr
2. 현대차, 美 테슬라 슈퍼차저 본격 이용…NACS 어댑터 제공 (더구루)
- 현대차는 미국에서 Tesla의 슈퍼차저 네트워크 이용을 시작
- 올해 1월 31일 이전 구매 고객은 마이현대 앱을 통해 무료로 어댑터를 신청 가능하며
2025년형 Ioniq5와 Ioniq9은 J3400 충전포트가 도입되어 별도 어댑터 없이 슈퍼차저 사용이 가능
[더구루] 현대차, 美 테슬라 슈퍼차저 본격 이용…NACS 어댑터 제공
[더구루=윤진웅 기자] 현대자동차가 미국 현지 2만개에 달하는 테슬라 충전 네트워크를 본격 이용한다. 지난 23년 10월 테슬라 충전 방식을 채택한 지 1년 5개월 만이다. 현대차 미국판매법인(HMA) 2
www.theguru.co.kr
3. 중국 체리 자동차, 터키 투자 여부 불확실
- 터키는 Chery 자동차 파트너들이 연간 20만대 캐파를 갖춘 10억달러 규모 제조시설을
투자할 것이라 발표
- Chery는 즉시 터키에 공장 건설 계획이 없다고 부인
- 체리는 BYD에 이어 터키에서 생산될 두 번째 중국 자동차 브랜드가 될 예정
4. NIO, 배터리 스왑 전략적 추진중
- NIO는 국영기업 퓨처 사이언스 시티 그룹과 100개의 배터리 스왑 스테이션 구축을 위한 전략적 협력 계약을 체결
- 자본 지출을 절감하며 인프라 구축을 가속화할 계획
- 25년 말까지 중국 전역에 배터리 스왑 네트워크 구축을 목표
Nio signs deal with Beijing state-owned firm to build 100 swap stations
Nio has teamed up with Future Science City Group in Beijing to jointly build 100 battery swap stations.
cnevpost.com
5. 틱톡 운명 어디로...對中 관세 협상 카드로 '틱톡 매각' 꺼내든 트럼프
- "틱톡 매각 승인하면 관세 깎아주겠다"
- 틱톡 매각 마지막 관문은 中정부 승인
- 알고리즘 소유권따라 승인 여부 갈릴 듯
https://www.ajunews.com/view/20250327103916748
틱톡 운명 어디로...對中 관세 협상 카드로 '틱톡 매각' 꺼내든 트럼프 | 아주경제
4월 2일 상호관세 발표를 앞두고 트럼프 대통령이 ‘틱톡 매각’을 대중(對中) 관세 협상 카드로 꺼내 들었다. 틱톡 미국 법인의 매각 시한이...
www.ajunews.com
6. 현대차그룹, 美 최첨단 제조 HMGMA 준공
- AI·IT 소프트웨어 중심 공장
- 연산 100만대 체제 퍼즐 완성
- 정의선 “모빌리티 미래 열것”
https://www.etnews.com/20250327000274
현대차그룹, 美 최첨단 제조 HMGMA 준공
현대차그룹의 미국 투자 상징이자, 미래 모빌리티 전진기지 '현대자동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Hyundai Motor Group Metaplant America)'가 공식 가동을 시작했다. 현대차그룹은 26일(현지시간) 미
www.etnews.com
7. 오픈소스 AI 잇달아 등장···보안은?
- "AI, 정보 모을수록 두 얼굴…LLM방화벽·필터 등으로 점검을"
https://zdnet.co.kr/view/?no=20250318150521
오픈소스 AI 잇달아 등장···보안은?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이 만든 고성능 AI 제품 ‘딥시크(DeepSeek)’가 미국 오픈AI의 ‘챗GPT’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개발됐다는 소식이 세상을 놀라게 했다. 특히 딥시크는 오픈소스로 공개,
zdnet.co.kr
'중국 휴대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년 4월 2일의 IT 단신 뉴스 (6) | 2025.04.02 |
---|---|
주요 시장의 글로벌 스마트폰 제조 순위 (0) | 2025.04.01 |
25년 3월 31일의 IT 단신 뉴스 (0) | 2025.03.31 |
24년 및 25년 중국 신재생 에너지 차량 Trend (0) | 2025.03.31 |
25년 기술예측 보고서 (0) | 2025.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