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3. 20. 06:20ㆍ중국 휴대폰
광고 클릭 부탁드립니다!
=========================================
1. 태국, 전기차 생산 허브로 부상…중국 기업 투자 확대 (IMPACTON)
- 태국은 아세안 내 전기차 시장에서 가장 큰 점유율을 차지
- 2024년 기준 신규 전기차 등록대수는 23.4만대 (+18.5% YoY)를 기록
- 현재 중국 브랜드들이 태국 EV 시장의 65%를 점유하며, BYD, Neta, MG 등이 태국을 생산거점 활용
태국, 전기차 생산 허브로 부상…중국 기업 투자 확대 | 임팩트온
태국이 동남아시아 전기차(EV) 시장에서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전기차 전문 매체 클린테크니카는 12일(현지시각) 태국이 아세안(ASEAN, 동남아시아국가연합) 내에서 가장 체계적인 자동차
www.impacton.net
2. Tesla는 최근 바이두와의 협력 보도에 대해 공식적으로 반박
- 협력은 지도 내비게이션에만 국한
- FSD 시스템 성능 향상을 위한 광범위한 협력이라는 추측 부인
- Tesla FSD v13 소프트웨어가 중국의 복잡한 도로 환경에 적응하는 중이라고 언급
Tesla denies FSD collaboration rumors with Baidu
Today, Tesla has officially responded to recent reports, clarifying that its collaboration with Chinese tech giant Baidu is limited to map navigation.
carnewschina.com
3. 테슬라는 26년부터 상하이에서 저가형 Model Y를 생산할 계획
- 'E41'이라는 프로젝트 명으로, 기존 생산 라인을 활용하여 제작
- 현재의 Model Y보다 최소 20% 더 저렴하게 생산
- 주로 중국 시장에서 판매될 예정
- 향후 유럽과 북미에서도 생산될 것
4. BYD, 중고차 수입·유통 법인 'BYD코리아오토' 설립 (뉴스1)
- BYD는 국내 시장에서 준중형 전기 SUV '아토3'의 출시가 지연되는 상황에서
중고차 시장 확대를 추진
- 한국에서 중고차 수입·유통 법인인 BYD코리아오토를 설립
- 신차 판매는 기존 BYD코리아가 담당
- 아토3는 아직 고객 인도가 이루어지고있지 않음
BYD, 중고차 수입·유통 법인 'BYD코리아오토' 설립
글로벌 전기차 판매 1위 중국 브랜드 비야디(BYD)가 국내 중고차 수입·유통 법인을 신설했다.16일 자동차 업계에 따르면 BYD는 최근 BYD코리아오토를 설립했 …
www.news1.kr
5. LG이노텍·삼성전기, 카메라모듈 이익률 감소세 왜?
- 작년 LG이노텍 3% 그쳐... 삼성전기는 4%
- 경쟁 심화·고사양화 정체·모듈 단품화 등 원인
https://www.thelec.kr/news/articleView.html?idxno=33743
LG이노텍·삼성전기, 카메라모듈 이익률 감소세 왜? -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LG이노텍과 삼성전기의 카메라 모듈 사업 영업이익률이 줄고 있다. 공급망 내 경쟁 심화와 고사양화 정체, 모듈 단품 납품 등이 원인으로 꼽힌다. 카메라 모듈 매출이 LG이노텍은 커졌고, 삼성전
www.thelec.kr
6. [ASIA Biz] 민영기업이 미중 전쟁 '첨병'... 민영경제 살리기 나섰다
- 美제재 뚫고 기술성과 내는 민영기업
- 국진민퇴 속 위축된 민영기업 지원사격
- 민영경제 발전 中 최초 기본법 올해 공표
- 習 "민영기업이 국가 경제발전 지원"
- "공동부유보다 선부론이 우선"
[ASIA Biz] 민영기업이 미중 전쟁 '첨병'... 민영경제 살리기 나섰다 | 아주경제
문 닫고 개 패기(關門打狗), 원양어업(遠洋捕撈)···.최근 중국 언론에 자주 소개된 중국 민영기업인들이 그간 지방정부에 의...
www.ajunews.com
7. 미국 '민감국가' 지정에 과기계 '직격탄'…원자력·AI 협력 위축 우려
- 미국 에너지부(DOE)가 이번 민감국가 명단을 주도해 작성한 것
- 에너지부는 원자력, AI, 양자 기술 등 다양한 최첨단 과학 연구를 수행하는 17개 국립연구소를 산하에 두고 있어
한국과의 협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
- 민감국가로 지정될 경우 연구진 간 협력 과정에서 원자력 등 국가 안보와 관련된 기술 공유가 제한될 수 있는 데다
인력 교류나 공동 프로젝트 진행에도 어려움
https://m.dongascience.com/news.php?idx=70588
미국 '민감국가' 지정에 과기계 '직격탄'…원자력·AI 협력 위축 우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이 2025년 1월 9일 목요일 플로리다주 팜비치에서 열린 마라라고 공화당 주지사들과의 회의에서 연설하고 있다.AP 사진/에반 부치/연합뉴스 제공 미국 정부가 지난 1
m.dongascience.com
'중국 휴대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5년 3월 21일의 IT 단신 뉴스 (0) | 2025.03.21 |
---|---|
AI Glass 산업 지도 (2) | 2025.03.20 |
2024년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요약 및 2025년 예측 (0) | 2025.03.19 |
25년 3월 19일의 IT 단신 뉴스 (2) | 2025.03.19 |
25년 3월 18일의 IT 단신 뉴스 (1) | 2025.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