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3. 26. 06:21ㆍ중국 휴대폰
다음은 중국 매체의 기사를 번역/ 요약한 것입니다.
원문: https://mp.weixin.qq.com/s/UHa-ebb90-ONLaca5pfWdw
===================================================================
1월 17일 국가통계국은 2023년 중국 인구통계를 발표했습니다.
2023 년 말 기준 전국 인구는 14억967만명으로 전년 말 대비 208만명 감소했고
연간 출생아 수는 902만 명으로 전년 대비 54만 명 감소 , 출생률은 6.39‰, 사망자 수는 1,110만 명, 사망률 7.87‰,
자연인구증가율은 -1.48%입니다.
2023년 중국 인구는 2년 연속 마이너스 성장을 겪고 있고, 합계 출산율은 1.0 안팎으로
세계 주요 경제국 중 꼴찌로 2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중국의 합계출산율은 1970년대 이전 약 6명에서 1990년 약 2명, 2010년 이후 약 1.5명, 2022년 1.05명,
2023년 약 1.0명으로 감소해 세계 주요 경제국 중 꼴찌에 이어 2 위를 기록했습니다.
포괄적인 두 자녀 정책은 기대에 못 미치고, 세 자녀 정책의 효과도 아직 나타나지 않고 있으며
중국 출생인구 감소세를 반전시키지 못하고, 출생누적효과는 기본적으로 끝났다고 봅니다.
2017년부터 7년 연속 감소해 2023년 출생아 수는 902만명으로 2022년보다 54만명 적어지면서
최저치를 계속 경신하고 있습니다.
2023년 총인구는 전년 대비 208만명 감소해 2년 연속 마이너스 성장을 이어가며 감소 폭이 확대될 전망입니다.
고령화, 저출산, 미혼의 3대 추세가 가속화되고 있고 인구통계학적 요인은 중요하고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며
가족계획 정책의 조정은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공급측 구조 개혁 중 하나입니다.
단기적으로 2024년에는 출생아 수와 출산율이 소폭 반등할 수 있습니다.
주요 이유는 1) 전염병 기간 동안 일부 가족의 출산 계획 적체 상태가 점차 풀리고 2) 결혼 쌍 수가 증가할 것입니다.
민정부 자료에 따르면, 2023년 3분기 등록된 부부는 569만쌍으로 전년 동기 대비 24만5000쌍 증가했습니다.
용의 해에 출산의 작은 정점이 있을 수 있겠으나
장기적으로는 출산력 축적 효과의 점진적 소멸, 낮은 출산율, 가임기 여성 수의 지속적인 감소, 높은 출산비용 등으로 인해
출산율 감소 추세를 반전시키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됩니다.
인구통계학적 요인은 느리지만 큰 힘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그 영향은 상당하고 광범위하므로 큰 주의가 필요합니다.
우리는 오랫동안 '고령화와 저출산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출산을 전면적으로 자유화하고 장려해야 한다'고 주장해 왔지만, 점차 빛을 보게 되고, 출산 정책도 활발하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
사회 전체가 중국의 인구 문제에 주목하기 시작했고, 정책은 점차 출산 장려 쪽으로 전환되었습니다.
'세 자녀 해방'부터 '출산지원 정책제도 개선과 가계부담 경감'까지.
삼자녀 정책 출시 이후, 각 지자체에서는 출산 및 육아 교육비 절감을 위한 모성지원 지원, 보육지원금, 모성보험, 개인세금 면제, 육아휴직 연장, 보육서비스 제공 등을 적극적으로 개선해 나가고 있습니다.
우선주거보장 등 단, 지원의 강도를 높이고 실행방식을 개선할 필요가 있습니다.
2023년 하반기부터 지방자치단체의 출산·육아 보조금 지급 빈도가 감소하고, 일부 보조금 정책 시행에 대한 개선이 필요한데, 가장 큰 이유는 지방자치단체의 재원이 부족하고 동기부여가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총인구는 14억 1천만 명으로 2년 연속 마이너스 성장을 보이고 있으며,
고령화, 저출산, 비혼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인구고령화가 심화되어 인구배당기에서 인구부담기로 전환되고 있으며, 실버경제가 큰 발전을 맞이하고 있습니다.
중국의 고령화 속도와 규모는 유례가 없을 정도로 빠르며, 2021년부터 중국은 심화 고령화에 진입하고
2023년에는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15.4%로 높아져 초고령화 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30년경에는 20% 이상입니다. 2084년 이후에는 중국의 노인인구가 전체 인구의 약 절반을 차지하게 됩니다.
2021년 중국의 65세 이상 인구는 14.2%로 심각한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고, 2022년 14.9%, 2023년 15.4%로
증가할 전망입니다
"2023년 중국 인구 예측 보고서"의 "중간 계획"에 따르면 중국은 2030년경에 비율이 20%를 넘는
초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후 2020년에는 약 36.2%까지 급속한 상승을 계속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노화 속도를 보면, 노화에서 딥에이징까지 걸리는 데 일본은 24년이 걸렸고, 독일은 40년, 프랑스는 126년,
중국은 21년이 걸렸고, 일본은 딥에이징에서 슈퍼에이징까지 약 21년이 걸렸습니다.
인구 기반이 넓기 때문에 중국의 노인 인구 규모도 전례가 없습니다.
2023년 중국의 65세 이상 인구는 2억 2천만 명으로 전 세계 노인인구의 약 26.8%를 차지하며,
노인 4명 중 1명은 중국인이 됩니다.
중국의 고령화 문제도 점점 더 두드러질 것입니다.
2022년에는 중국의 80세 이상 인구가 약 4천만 명에 달해 전체 인구의 약 2.7%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23년 중국 인구 예측 보고서"의 "중간 계획"에 따르면
2030년, 2050년, 2070년에 80세 이상 인구 비율이 3.7%, 11.0%, 18.6%, 30.4%로 예상됩니다.
노령화에는 지역적 차이가 크며, 북동부, 쓰촨성, 충칭 지역에서는 노령화 현상이 뚜렷합니다.
성별로 보면 티베트만 65세 이상 인구가 2022년에는 7% 미만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되며
상대적으로 젊은 인구 연령 구조를 갖고 있으나
신장, 광둥, 칭하이 등 성급 이상의 11개 지역이 있다. 65세 이상 인구는 7%에서 14%로 초기 노령화 과정에 진입하며,
산시(山西), 허난(河南), 산시(陝西), 내몽골 등 4개 성(省) 이상의 지역에서 65세 이상 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14% 이상이지만 전국 평균보다는 낮습니다.
저장성, 베이징, 허베이성 등 성급 이상 15개 지역 65세 이상 인구가 14% 이상을 차지하며
이미 깊은 노령화 단계에 진입했고
요녕성, 상하이, 충칭, 쓰촨성, 장쑤성, 흑룡강성, 길림성은 각각 20.0%, 18.7%, 18.3%, 18.1%, 17.9%로 높았습니다.
1962년부터 1976년까지 베이비붐 인구는 급속히 노령화되고 노동시장에서 퇴출된다. 과거에 우리가 아무리 인구배당을 누려도 나중에는 고령화의 부담을 지게 될 것입니다.
지난 수십 년의 인구배당 시대에서 인구부담 시대로 옮겨가고 있습니다.
연금 부담, 사회보장 지출, 정부 부채에 대한 압박은 앞으로 더욱 커질 것입니다. 앞으로는 의료, 노인복지, 의료 등의
실버 산업이 큰 발전을 이룰 것입니다.
일본, 한국 등 아시아 선진국의 노령화 현상이 미국, 유럽보다 더 심각하다는 점은 주목할 만합니다.
3. 생산연령인구가 감소하고, 잠재 경제성장률이 하락하면서 '인구배당'이 '재능배당'으로 밀려나고 있다.
노동인구 규모는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생산가능인구 비중도 크게 감소해
2010년부터 2022년까지 15~64세 생산가능인구 규모는 10억명에서 9억6천만명으로 줄었고
그 비율도 2010년 10억명에서 9억6천만명으로 줄었습니다.
생산 가능 인구의 비중은 2050년에는 58%까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23년 16~59세 인구는 8억6481만명으로 2022년 대비 1075만명 감소해 전체 인구의 61.3%를 차지해
2022년 대비 0.7%포인트 감소할 전망입니다.
중국의 노동인구 비율과 규모는 각각 2010년과 2013년에 정점을 찍은 후 급격한 감소 단계에 돌입했습니다.
인구배당효과가 사라지고 인건비가 급등해 세계의 공장이라는 중국의 위상이 위협받고 사회혁신과 기업가정신의 활력이 쇠퇴하고 잠재경제성장률이 쇠퇴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중국은 인구 배당 시대에서 인구 부담 시대로 옮겨가고 있으며, '부자가 되기 전에 늙어야 한다'는 과제에
직면해 있습니다.
과거 중국의 급속한 경제성장에는 인구배당이 중요한 요인이었습니다.
1978년 개혁개방 이후 중국은 젊은 대규모 노동력과 그에 따른 거대한 통일시장에 의존해 세계 2위의 경제대국으로
급속히 성장했습니다.
1962년부터 1975년까지의 제2차 베이비붐 세대는 개혁개방 40년 건설의 주역이었으며
생산과 저축은 늘었지만 소비는 줄어들어 저축률과 투자율이 높아졌습니다.
투자 대비 저축 과잉으로 무역흑자가 발생하고, 동시에 유동성 과잉과 1인당 소득 증가로 소비 고도화가 촉진되고, 잠재 경제성장률도 상대적으로 높다. 장기간의 저출산 상황으로 인해
중국의 15~64세 생산연령인구 비율과 규모는 각각 2010년과 2013년에 최고조에 달했고
아무런 변화가 없다면 인구 고령화 구조는 장기적인 경제 성장에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총인구의 증가와 질과 구조의 개선으로 미국은 2차 산업혁명의 경제적 도약을 이뤘고,
2차 세계대전 이후 세계 패권국이 됐습니다.
인구의 노령화로 인해 우리나라의 사회보장 수입과 지출의 모순이 점점 더 두드러지고 연금 격차도 날로 커질 것입니다.
동남아시아, 인도 및 기타 지역으로 이주가 시작되었으며 계속해서 이주할 것입니다.
한계적인 관점에서 볼 때, 중국의 인구배당은 곧 끝나갈 것이며 "부자가 되기 전에 늙어가는" 상황에 직면해 있습니다.
다만 중국은 여전히 세계에서 보기 드문 생산연령인구가 많아 인구부담이 증가하는 문제에 직면해 있으며
'인구배당'을 '재능배당'으로 전환을 추진해야 합니다.
국가통계국의 데이터에 따르면 중국의 16~59세 인구의 평균 교육 기간은 2010년부터 2022년까지
9.67년에서 10.9년으로 증가했습니다.
대학 학위를 소지한 인구는 전체 인구의 약 15.5%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미국의 42%, 캐나다의 51%에 비해 여전히 개선의 여지가 있습니다.
건강, 문화적 질 및 기타 측면의 개선은 노동 공급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재능 배당금"의 출시를 가속화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4 저출산 현상이 심화되어 출생아 수가 7년 연속 감소했습니다.
포괄적인 두 자녀 정책은 기대에 못 미치고, 세 자녀 정책의 효과도 아직 나타나지 않고 있으며
중국 출생인구 감소세를 반전시키지 못하고, 출생누적효과는 기본적으로 끝났습니다.
2017년부터 7년 연속 감소해 2023년 출생아 수는 902만명으로 2022년보다 54만명 적어지면서
최저치를 계속 경신하고 있습니다.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래 3번의 베이비붐이 있었는데
1950년부터 1958년까지 연평균 2,100만명, 1962년부터 1975년까지 2,628만명,
1981년부터 1994년까지 2,246만명을 기록했다가 점차 감소하여 2003년까지 감소하였습니다.
2012년까지. 2012년 1,635만 명을 포함해 약 1,600만 명. 4차 베이비붐은 2010년 이후 등장할 예정이었으나
장기적인 가족계획의 엄격한 시행으로 사라졌습니다.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출생인구는 각각 1640만명, 1687만명, 1655만명입니다.
2015년 말 중앙정부는 두 자녀 정책을 전면 자유화하기로 결정했고
2016년 출생아 수는 1,786만 명으로 2000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그러나 2017년부터 7년 연속 출생아 수가 감소하였습니다.
지역별 출생아 수는 광둥성이 크게 앞섰고, 허난(河南), 산둥(山둥), 허베이(河베이) 등
인구가 가장 많은 지역의 출생아 수는 전년 대비 5~10% 감소했습니다.
출생인구 기준으로 2022년 출생아 수가 가장 많은 상위 3개 성은 광둥성, 허난성, 산둥성으로
각각 105만2000명, 73만3000명, 68만2000명으로 전국 전체의 27.4%를 차지합니다.
출생인구 변화의 관점에서 볼 때, 안후이성과 허베이성의 출생인구는 2022년에 전년 대비 15% 이상 감소할 것입니다.
푸젠성, 랴오닝성, 중국 등 13개 성급 이상 지역의 출생인구는 장시(江西), 윈난(雲南) 지역은 10~15% 감소,
구이저우(貴州), 산둥(山둥), 길림(吉蘇) 등 14개 성급 지역의 출생인구는 0~10% 감소하고
티베트와 신장만 소폭 플러스를 기록했습니다.
2023년 중국의 출생 인구는 902만 명으로 우리의 '낮은 시나리오' 예측에 부합합니다.
단기적으로는 2024년 출생아 수가 소폭 반등할 수도 있는데, 그 주된 이유는
1) 전염병 기간 중 일부 가족의 출산계획 적체 상황이 점차 풀리고
2) 2023년에는 결혼 부부 수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입니다.
민정부 자료에 따르면 2023년 3월 분기 등록 혼인건수는 569만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24만5000건 증가했습니다.
용의 해에 태어난 사람의 수.장기적으로 출산력 축적 효과의 점진적 소멸, 낮은 출산율, 가임기 여성 수의 지속적인 감소, 높은 출산비용 등으로 인해 중국 출생인구 감소세를 장기적으로 역전시키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됩니다.
"2023년 중국 인구 예측 보고서"에 따르면 출산 장려를 위한 실질적이고 효과적인 정책이 없다면
중국의 출생 인구는 약 4년 내에 700만 명 이하로 감소하고, 2050년에는 500만 명 미만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현재 중국의 출생인구는 인도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며,
이러한 추세에 따르면 금세기 중반에는 인도의 3분의 1에 불과하고
2100년에는 인도의 4분의 1에도 못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5 출산율은 세계에서 두 번째로 낮고, “아이를 갖고 싶지 않고, 아이를 가질 용기가 없고, 아이를 가질 수 없는” 문제가
두드러집니다.
중국의 합계 출산율은 1970년대 이전 약 6명에서 1990년 약 2명, 2010년 이후 약 1.5명, 2022년 약 1.05명, 2023년 약 1.0명으로 감소해 세계 주요 경제국 중 꼴찌에서 2위를 기록했다.
우리의 계산에 따르면, 합계 출산율은 2016년 1.7명으로 2015년에 비해 크게 증가했습니다.
2017년에는 소폭 감소했고, 2018년에는 1.5명 정도로 크게 감소했으며,
2019년에는 기본적으로 동일했고, 2020년에는 1.3명에 불과했습니다. 2021년에는 1.15로 떨어졌습니다.
2022년에는 1.05, 2023년에는 1.0 안팎이 될 전망이다(출생인구 902만명 기준)
세계에서 두번째 낮은 수준입니다.
왜 출산하지 않는가?
비용 문제/ 보조금 문제/ 결혼하지 않는 추세가 문제
남녀 불균형도 문제이며
동북지역은 여자가 많으나 농촌지역은 남성이 많다.
'중국 휴대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년 3월 27일의 사진 - 인디오븐 미금 행복점 (0) | 2024.03.27 |
---|---|
24년 3월 26일의 IT 단신 뉴스 (2) | 2024.03.26 |
24년 3월 25일의 IT 단신 뉴스 (2) | 2024.03.25 |
2024년 글로벌 모니터 출하량은 1.28억대 예상 (0) | 2024.03.25 |
24년 3월 22일의 IT 단신 뉴스 (4) | 2024.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