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1. 24. 06:27ㆍ중국 휴대폰
광고 클릭 부탁드립니다!
=======================================
1. 미국 전기차 산업 위축되나
- 포드는 F-150 라이트닝을 생산하는 미시간주 디어본 ‘루즈 전기차 센터’의 생산량을 줄이고
오는 4월 1일부터 종전 2교대 근무에서 1교대로 근무체계를 변경
- 업계는 이번 조치로 해당 공장 직원 약 1400명이 감원될 것으로 예상
- 스텔란티스가 전기차 가격 인하 경쟁이 과도하여 산업 전체를 '피바다'로 만들 수 있다고 경고
CEO는 높은 가격이 전기차 수요를 감소시키고 있다고 분석하면서도
가격 인하 속도가 과열되어 이미 낮은 마진율을 악화시키고 있다고 언급
https://www.digital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502881
포드, F-150라이트닝 생산량 줄인다…노동자 1400명 어쩌나 - 디지털투데이 (DigitalToday)
[디지털투데이 AI리포터] 포드가 전기 픽업트럭 F-150 라이트닝 생산을 줄인다.지난 19일(현지시간) 엔가젯에 따르면 포드는 \"예상보다 낮은 수요로 F-150 라이트닝 생산량을 줄인다\"라며 \"오...
www.digitaltoday.co.kr
Stellantis warns of EV ‘bloodbath’ as Ford cuts F-150 Lightning output
Then $29 per 3 months. The new FT Digital Edition: today’s FT, cover to cover on any device. This subscription does not include access to ft.com or the FT App.
www.ft.com
2. 中당국 “신에너지차 산업 급성장…구조조정도 필요해” (글로벌이코노믹)
- 중국 매체에 따르면 중국 공업정보화부는 정부 지원 속에 급성장한 중국의 신에너지차 기업들이
여전히 적자를 벗어나지 못하고 내수 시장 내 무분별한 경쟁이 심화되는 상황
- 산업 발전을 위한 구조조정의 필요성을 시사
中당국 “신에너지차 산업 급성장…구조조정도 필요해” - 글로벌이코노믹
정부 지원 속에 급성장한 중국의 신에너지차(전기차·하이브리드차·수소차) 기업들이 여전히 적자를 벗어나지 못하고, 무분별한 경쟁이 심화되면서 당국이 구조조정의 필요성을 시사했다.20일(
www.g-enews.com
3. 中 전기차 1억대 투입 가능한 리튬 100만톤 '심봤다'… EV 시장 가속 충전 (서울경제)
- 중국 천연자원부는 중국 스촨성 야장현에서 100만톤에 달하는 탄산 리튬 매장량을 채굴
- 전기차 1억여대에 탑재할 수 있는 양으로, 중국은 자국 배터리 산업이 우위를 차지할 수 있는
핵심 자원을 확보하게 된 것으로 자평
中 전기차 1억대 투입 가능한 리튬 100만톤 '심봤다'… EV 시장 가속 충전
중국이 리튬이온 배터리의 핵심 원료로 꼽히는 탄산 리튬 100만 톤 규모를 확보하면서 전기차(EV) 시장에서 가속 페달을 밟게 됐...
www.sedaily.com
4. TSMC, 1나노 생산기지를 대만에 추가 건설
-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외주제작) 업체인 대만 TSMC가 1나노(nm) 웨이퍼 생산공장을
대만 현지에 추가로 건설 예정
- TSMC가 최근 타이바오(太保)시의 산업단지를 관할하는 남부과학단지관리국에 공장 용지를 요청했다고
대만연합보가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
- 매체에 따르면 TSMC는 100헥타르 규모의 공장 용지 사용을 신청
이 중 60헥타르에는 1나노 공장을, 40 헥타르에는 후공정 공장을 건설 추정 및 42조원 투
https://www.newspim.com/news/view/20240122000849
TSMC, 42조원 투자해 1나노 공장 추가 건설
[베이징=뉴스핌] 조용성 특파원 =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외주제작) 업체인 대만 TSMC가 1나노(nm) 웨이퍼 생산공장을 대만 현지에 추가로 건설할 것으로 전해졌다.TSMC가 최근 타이바오(太保)
newspim.com
5. '방한' 샘 올트먼, 최태원·경계현 회동 전망…AI 반도체 논의 주목
- 올트먼 CEO는 이번주 한국에서 최태원 SK그룹 회장·경계현 삼성전자 DS부문장(사장)과 만날 것으로 관측
- 올트먼 CEO의 방한을 계기로 국내 기업과 AI 반도체 협력 논의가 구체화될지 주목
'방한' 샘 올트먼, 최태원·경계현 회동 전망…AI 반도체 논의 주목
이번주 방한하는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가 삼성·SK 최고위급 인사를 잇따라 만날 것으로 예상된다. 오픈AI가 자체 인공지능(AI) 반도체 개발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진 만큼 양사와 동
www.etnews.com
6. 정부, ‘단말기 유통법’ 폐지 추진…2014년 이전으로 회귀?
- 방통위, “지원금 경쟁 활성화…휴대폰 구입비 절감”
- 마케팅 경쟁 전환…선택약정할인·자급제·알뜰폰·제4이통 기반 ‘흔들’
https://www.thelec.kr/news/articleView.html?idxno=25474
정부, ‘단말기 유통법’ 폐지 추진…2014년 이전으로 회귀? -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정부가 ‘이동통신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단말기 유통법)’ 폐지를 추진한다. 10년 만이다. 휴대폰 구매비 절감을 명분으로 삼았다. 보조금 제한을 풀어 경쟁을 촉진하겠다는 의도
www.thelec.kr
7. K-콘텐츠 가장 인기있는 국가는 '태국'
- 한국콘텐츠진흥원에서 발표한 보고서 '2023년 K-콘텐츠 해외진출 현황조사'
- K-콘텐츠에 대한 9개국 소비자들의 글로벌 위상 지수(K-GSI)를 점수로 산출한 결과
태국의 종합 점수가 가장 높았다
- 패션에 가장 많은 관심...음악과 게임 순으로 나타나
콘텐츠 소비에 대한 경제적 부담도...현지 가격 정책 필요
https://www.thelec.kr/news/articleView.html?idxno=25430
K-콘텐츠 가장 인기있는 국가는 '태국' -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지난해 K-콘텐츠가 진출된 국가 가운데 태국의 K-콘텐츠에 대한 선호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콘텐츠진흥원에서 18일 발표한 보고서 '2023년 K-콘텐츠 해외진출 현황조사'에 따르면 ...
www.thelec.kr
8. 中 배터리 기업 6곳, 美국방부 구매 금지 대상에...CATL·BYD 등 포함
- 닝더스다이(CATL)로 대표되는 중국 배터리 기업들이 세계 시장 점유율을 빠르게 확대해 가고 있는 가운데
미국이 국가 안보를 이유로 미 국방부의 중국산 배터리 구매를 금지
- 미 국방부는 2027년 10월부터 중국 기업으로부터 배터리를 조달 불가
中 배터리 기업 6곳, 美국방부 구매 금지 대상에...CATL·BYD 등 포함 | 아주경제
닝더스다이(CATL)로 대표되는 중국 배터리 기업들이 세계 시장 점유율을 빠르게 확대해 가고 있는 가운데 미국이 국가 안보를 이유로 미 국방부의 중국산 배터리 구매를 금지했다.22일 환구시보
www.ajunews.com
9. 현대차· 배터리 3사 “美에 전기차 공급망 中 즉각 배제 유예 요청”
- 국내 자동차·배터리 기업이 미국 정부에 전기차 배터리에 들어가는 핵심 광물 중 일부를
중국에서 조달해도 한시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해달라는 취지의 의견서를 제출
- 미국 FEOC 규정안에 따르면, 미국에서 보조금을 받는 기업은
2025년부터 FEOC에서 핵심 광물 조달 불가
- 단기간 대체재 찾기 어렵다는 국내 업체의 판단
https://www.etnews.com/20240122000234?mc=em_010_00001
현대차· 배터리 3사 “美에 전기차 공급망 中 즉각 배제 유예 요청”
국내 자동차·배터리 기업이 미국 정부에 전기차 배터리에 들어가는 핵심 광물 중 일부를 중국에서 조달해도 한시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해달라는 취지의 의견서를 제출했다. 단기간에 대체재
www.etnews.com
'중국 휴대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4년 1월 25일의 IT 단신 뉴스 (2) | 2024.01.25 |
---|---|
[증권사 코멘트] 23년 12월 중국 시장 스마트폰 출하량 (0) | 2024.01.24 |
23년 3분기 글로벌 스마트워치 TOP 20은? (0) | 2024.01.24 |
24년 1월 23일의 IT 단신 뉴스 (2) | 2024.01.23 |
23년 3분기 가장 많이 팔린 TWS는? (2) | 2024.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