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년 11월 7일의 IT 단신 뉴스

2023. 11. 7. 06:29중국 휴대폰

광고 클릭 부탁드립니다!

==========================================

 

 1. 中 전기차업체 웨이라이 2천700명 감원…"향후 2년 경쟁 격화"

   - 경쟁 밀린 전기차 업체들 줄도산…"신에너지차 시장 더는 블루오션 아냐"

   - 당국의 적극적인 지원 속에 급성장했지만

    상위 10개 업체가 판매의 80%를 차지하는 적자생존의 구도가 고착하면서

    신에너지차 시장이 더는 블루 오션(경쟁자가 없어 유망한 시장)이 아니며

    기술력에서 밀리는 업체들은 가차 없이 도태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4310626?sid=104

 

中 전기차업체 웨이라이 2천700명 감원…"향후 2년 경쟁 격화"

경쟁 밀린 전기차 업체들 줄도산…"신에너지차 시장 더는 블루오션 아냐" 박종국 특파원 = 중국 전기차 업체 웨이라이(NIO·니오)가 2천700명의 인력 감원에 나섰다고 현지 매체 펑파이신문이 5일

n.news.naver.com

 

 2.  미국 셧다운 위기에 반도체 지원법도 불안, 삼성전자 파운드리 투자 '먹구름'
   - 미국 정부의 예산 소진으로 업무가 중단되는 ‘셧다운’ 사태가 벌어질 가능성이

     다시금 떠오르면서 반도체 지원법도 영향권에 놓일 공산이 크다는 관측

   - 삼성전자와 TSMC 등 미국에 반도체공장을 건설하는 기업들에 제공하는

     정부 지원금 규모가 축소되거나 시기가 예상보다 늦어지며 투자 부담을 키울 가능성

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331989

 

미국 셧다운 위기에 반도체 지원법도 불안, 삼성전자 파운드리 투자 '먹구름'

미국 정부의 '셧다운' 가능성에 반도체 지원법에 불똥이 튈 수도 있다. <그래픽 비즈니스포스트>[비즈니스포스트] 미국 정부의 예산 소진으로 업무가 중단..

www.businesspost.co.kr

 

 3. 대만, 반도체산업 혁신에 10년간 12조원 투입… “선제적 대응”
   - 대만이 반도체산업 혁신을 위해 향후 10년간 3000억 대만달러(약 12조 3000억원) 투입
   - 행정원은 경제부·교육부·디지털부·국가발전위원회(NDC) 등 관련 부서와 협력해

    이번 방안을 시행할 것이라면서

    우선 내년에 120억 대만달러(약 4916억원)를 투입할 예정이라고 설명

https://imnews.imbc.com/news/2023/world/article/6540052_36133.html

 

대만, 반도체 혁신에 10년간 12조 원 투입‥"선제적 대응"

대만이 반도체산업 혁신을 위해 앞으로 10년 동안 3천억 대만달러 우리돈, 약 12조 3천억 원을 투입키로 했습니다. 중국시보 등에 따르면 행정원은 현지시간 2일 전체 회의에서 국...

imnews.imbc.com

반응형

  4. 中 YMTC, 신규 자금조달…美 규제에 총력 대응
    - YMTC가 미국의 반도체 수출 규제 강화에 대응하고자 수십억 달러의 신규 자본을 조달했다고

      영국 파이낸셜타임즈가 보도

    - 파이낸셜타임즈는 익명의 소식통을 인용해 "YMTC가 지난해 조달한 70억 달러의 자본은

       올해까지 대체 장비 개발 및 도입 등으로 이미 소진된 상황"이라며

       "이에 YMTC가 새로운 자금 조달 캠페인으로 수십억 달러의 투자금을 모았다"고 보도

https://zdnet.co.kr/view/?no=20231103080954

 

中 YMTC, 신규 자금조달…美 규제에 총력 대응

중국 주요 메모리 제조업체 YMTC가 미국의 반도체 수출 규제 강화에 대응하고자 수십억 달러의 신규 자본을 조달했다고 영국 파이낸셜타임즈가 2일(현지시간) 보도했다.파이낸셜...

zdnet.co.kr

 

  5. 애플, 3Q 印 스마트폰 시장서 역대 최대 출하량 기록
    -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애플은 2023년 3분기 인도 스마트폰 시장에서

      분기 최대 출하량(250만대) 기록

    - 전년동기 대비 34% 성장한 수치다. 하지만 아직 출하량 기준 톱5 안에는 미달

https://zdnet.co.kr/view/?no=20231103170236

 

애플, 3Q 印 스마트폰 시장서 역대 최대 출하량 기록

애플과 중국 스마트폰 업체들이 주요 스마트폰 시장인 인도에서 존재감을 빠르게 키워가고 있다.3일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애플은 2023년 3분기 인도 스마트...

zdnet.co.kr

 

 6. 차랑용 반도체 수요 둔화 시작되나…'온세미' 팹 가동 축소 검토

   - 온세미 "유럽 티어1 고객사 재고 조정 시작"
   - TSMC 오토모티브 매출, 2분기 대비 24%↓
https://www.thelec.kr/news/articleView.html?idxno=23880

 

차랑용 반도체 수요 둔화 시작되나…'온세미' 팹 가동 축소 검토 -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글로벌 경기 침체 등으로 전기차 판매가 줄어들면서 차량용 반도체 수요도 감소하고 있다. 지난 3년간 차량용 반도체 쇼티지 현상이 지속됐던 것을 고려하면 생경한 일이다. 일부 전력 반도체

www.thelec.kr

 

 

 7. 탈중국 가속화에…中 총리 "中 개방 발걸음 멈춘 적 없다"

   - 제6회 상하이국제수입박람회 개막식 연설

   - 외국기업 脫중국화에···中 '대외개방' 한목소리

   - 관계 껄끄러운 日·美·호주 대규모 대표단 파견

   - 디플레 우려 속 中 구매력 과시할까

   - 형식주의 '정치 쇼'로 전락…EU상회 비판도

  https://www.ajunews.com/view/20231105121619579?utm_source=ajunews&utm_medium=view&utm_campaign=china_top

 

탈중국 가속화에…中 총리 中 개방 발걸음 멈춘 적 없다 | 아주경제

5일(현지시각) 중국 상하이서 개막한 제6회 중국국제수입박람회(CIIE)를 계기로 중국 지도부가 자국 대외개방 의지를 적극 내비치고 있다. 최근 국내외 수요 둔화로 디플레이션(경기 둔화 속 지속

www.ajunews.com

 

 

 8. 국산 LFP 배터리…현대차, 내년 개발

   - 올해부터 2개년 프로젝트 시동, 국내 복수 중견기업과 협력 추진

   - 2025년 보급형 전기차에 탑재

   - 中 의존도 낮추고 경쟁력 강화

https://www.etnews.com/20231103000284?mc=em_001_00001

 

국산 LFP 배터리…현대차, 내년 개발

현대차그룹이 국내 기업과 함께 보급형·중저가 전기차용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개발한다. LFP 배터리의 가격 경쟁력을 유지하면서도 안정성과 성능을 강화한 제품을 만든다. 2025년 전기차에

www.etnews.com

 

9. 540만원 깎아 드려요"…中 전기차, '파격 세일' 또 불붙었다 (머니투데이)

  - 올해 마지막 두 달을 남기고 중국 전기차 업체의 가격 인하 전쟁이 재점화

  - BYD는 300만대 목표를 앞두고 예약 구매시 차량 가격을 인하한다고 발표 

  - 창청 오라는 한시적으로 최대 540만원 가격 인하 발표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3110311224590273

 

"540만원 깎아 드려요"…中 전기차, '파격 세일' 또 불붙었다 - 머니투데이

"300만대 목표 채워라"…1위 BYD도 가격인하올해 마지막 두 달을 남기고 중국 전기차 업체의 가격 인하 전쟁이 재점화되고 있다. 중국 전기차 1위 BYD도 300만대 판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공격적으

news.mt.co.kr

 

10. 삼성, ‘고가폰’ 갤S24 3500만대 생산…첫 AI폰으로 애플에 승부수(중앙일보)
  - 삼성전자 MX사업부, 갤럭시S24를 포함한 갤럭시폰의 내년 생산량을 총 2억5300만대로 최근 확정
  - 갤S24의 시장 공략 키워드는 AI로, 사진·메시지·음성 인식 등 스마트폰의 핵심 기능에

    ‘생성형 AI’ 기술이 적용될 예정

https://tinyurl.com/yr6xkpeb

 

[단독] 삼성 승부수는 'AI폰'…갤24 10% 늘려 3500만대 생산

삼성전자가 차세대 플래그십(최상위기종) 스마트폰인 갤럭시S24 시리즈의 출하량을 전작(갤럭시S23)보다 10% 이상 늘린 3500만 대로 잡았다. 삼성은 갤럭시S24 시리즈를 내년 1월 공개하는데, 처음으

v.daum.net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