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3. 8. 06:30ㆍ중국 휴대폰
광고 클릭 부탁드립니다!
====================================
1. "中·인도 제칠 기회 왔다"…한국 기업들 들썩이는 이유
- 환경규제 왕국 EU에 도전하는 韓기업들
- EU 올해 환경규제 43개 도입, 공급망실사지침·에코디자인 등
- 2050년 탄소중립 도달이 목표
- 포스코·LG화학 등 "되레 기회", EU 집행위도 韓 기업에 우호적
- 과연 그럴까요..원자력이 중심인 한국인데..
https://n.news.naver.com/article/015/0004817666
"中·인도 제칠 기회 왔다"…한국 기업들 들썩이는 이유
국내 기업들이 유럽의 환경 규제 장벽을 기회로 삼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일찌감치 규제에 대비해온 국내 기업들이 중국 경쟁사보다 유리한 고지에 오를 수 있다는 논리다. 유럽연
n.news.naver.com
2. 메모리 업계, 팹 가동률 80%대로 '뚝'
- SK하이닉스를 비롯해 메모리 업계의 팹 가동률이 80%대로 떨어질 전망
- 일부 업체는 가동률이 50%대까지 떨어진 팹이 등장
- 불경기임을 반영하는 지표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메모리 업계, 팹 가동률 80%대로 '뚝'
SK하이닉스를 비롯해 메모리 업계의 팹 가동률이 80%대로 떨어질 전망이다. 일부 업체는 가동률이 50%대까지 떨어진 팹이 등장했다.지난해 하반기부터 메모리 업계는 감산이 ...
zdnet.co.kr
3. 산업장관 "美 반도체지원법, 기업 경영침해...부담 최소화 협상"
-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미국 반도체지원법과 관련
"우리 기업이 중국에서 정상적으로 경영하는 데 크게 부담되는 상황을 받아들이기 어렵다"며
정부의 기본적인 원칙 표명
- 이 장관은 한국 기업이 중국에서 경영 활동하는 데 부담스럽지 않도록 미국과 협의하고 있으며
중국과의 교류 규모가 상당히 크고 앞으로도 교역해야 하기 때문에
미국 지방이나 중앙 정부와 계속 소통할 생각이라고 언급
산업장관 "美 반도체지원법, 기업 경영침해...부담 최소화 협상"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미국 반도체지원법과 관련 우리 기업이 중국에서 정상적으로 경영하는 데 크게 부담되는 상황을 받아들이기 어렵다며 정부의 기본적인 원칙을 밝혔다...
zdnet.co.kr
4. 1월 중국 스마트폰 판매량 44.6%↑…'일회성' 확률 높아
- 중국 시장조사기관 시노(Cinno)리서치에 따르면 중국 내 1월 스마트폰 판매량은 2766만대로 발표
- 중국 내 1월 스마트폰 판매량은 일시적인 반등일 확률이 높음
- 스마트폰 공급망 주요 기업 폭스콘과 미디어텍의 매출이 감소
중국 스마트폰 기업에 부품을 공급하는 국내·외 기업들의 공장 가동률 하락중
1월 중국 스마트폰 판매량 44.6%↑…'일회성' 확률 높아 -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세계 최대 스마트폰 시장인 중국의 1월 스마트폰 판매량이 큰 폭으로 반등하는데 성공했다. 스마트폰 업황이 이제 회복되는 것 아니냐는 얘기도 나온다. 하지만 국내 업계에서는 춘절 프로모션
www.thelec.kr
5. 애플 아이폰에 삼성전자 생산 5G 반도체 안 쓴다, TSMC 3나노 공정 활용
- 애플이 내년 출시하는 아이폰16 시리즈부터 자체 기술로 개발한 5G 통신모뎀 반도체를 활용할 것으로 전망
- 해당 반도체는 TSMC의 3나노 파운드리 공정을 통해 생산
- 현재 판매되는 아이폰에는 삼성전자가 제조한 퀄컴의 5G 모뎀이 탑재되는데
TSMC가 삼성전자의 수주 물량을 대거 빼앗아올 가능성이 커졌으며
애플 자체 모뎀이 도입되면 더욱 심화될 듯
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308145
www.businesspost.co.kr
6. 삼성전자 노태문 결단 통했다, 갤럭시S23 판매 3천만 대 돌파 전망
- 갤럭시S23의 국내 사전판매량은 7일 동안 109만 대로
2022년 갤럭시S22 시리즈가 기록한 역대 사전 판매 기록 101만7천 대를 넘어서며
연간 글로벌 3천만 대 판매 목표도 달성 가능할 것으로 기대
- S22도 3천만대 이상 판매가 되어 안되면 이상한 것 입니다.
https://www.businesspost.co.kr/BP?command=article_view&num=308148&idxno=308148&sub=11&sub_section_code=308148
www.businesspost.co.kr
7. 한·일 반도체 동맹 맺을까…소니 회장, 삼성 반도체 공장 방문
- 소니 수장이 삼성전자 평택캠퍼스 방문
- 요시다 소니 회장은 경 사장과 자율주행차량용 고성능·대용량 메모리반도체 분야에서의
협력 방안에 대해 논했을 것이라는 예측
한·일 반도체 동맹 맺을까…소니 회장, 삼성 반도체 공장 방문
한·일 반도체 동맹 맺을까소니 회장, 삼성 반도체 공장 방문
biz.chosun.com
8. “반도체에 180조원 투자한 中, ASML에 20년 뒤쳐져”
- 반도체 기술 발전을 위해 중국 정부가 180조원이 넘는 자금을 투자했지만,
상황이 녹록지 않을 것이라는 평가
- 외국 협력 업체들과의 단절 등으로 기술적 장벽을 넘기 어렵다는 해석
“반도체에 180조원 투자한 中, ASML에 20년 뒤쳐져”
반도체에 180조원 투자한 中, ASML에 20년 뒤쳐져 막대한 자금에도 기술적 장벽 넘기 힘들다는 해석
biz.chosun.com
9. '미풍이냐, 태풍이냐'...MKS發 랜섬웨어 여파에 긴장하는 반도체업계
- MKS “사태 복구에 최소 몇 주 걸려”
- AMAT는 "최소 2억5000만 달러 손해
- 삼성·SK 촉각 곤두세우는 분위기, 대체솔루션 물색 등 대응 마련 고심
https://www.thelec.kr/news/articleView.html?idxno=20047
'미풍이냐, 태풍이냐'...MKS發 랜섬웨어 여파에 긴장하는 반도체업계 -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
글로벌 반도체 부품기업 MKS인스투르먼트(이하 MKS)의 랜섬웨어 피해가 세계 반도체 업계를 강타하고 있다. 사태 복구가 예상보다 장기화될 경우 반도체 가동에 필수인 부품 수급이 어려울 전망
www.thelec.kr
'중국 휴대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3년 3월 9일의 IT 단신 뉴스 (0) | 2023.03.09 |
---|---|
인플레이션은 22년 글로벌 생활에 어떤 영향을 미쳤나 (2) | 2023.03.09 |
식품 산업의 디지털화 보고서 (0) | 2023.03.08 |
23년 3월 7일의 IT 단신 뉴스 (2) | 2023.03.07 |
22년 배터리 업체 출하량 순위 (0) | 2023.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