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endforce(3)
-
2019~2022년 글로벌 스마트폰용 카메라 모듈 출하량 및 성장율
TrendForce가 금년 1월에 22년 전망치까지 내놓았습니다. 멀티카메라 채용에 따라 19년 크게 증가했지만 그 후 성장은 정체되는 Trend를 보이고있습니다. 이제 카메라 출하 수가 증가하기보다는 품질과 혁신 싸움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2022.02.07 -
21년 11월 19일의 IT 단신 뉴스
어제 수능 보신 분들의 건승을 기원합니다! 배너 클릭도 부탁드립니다! ===================================== 1. 삼성, 글로벌 스마트폰 생산체계 대개편 - 내년 베트남 캐파 중 1900만대 인도, 인도네시아로 이관 - 최대 생산거점인 베트남 비중 60%→50%로 낮추기로 - 코로나19 등 펜데믹 상황 대비 및 원가경쟁력 고려 http://www.thelec.kr/news/articleView.html?idxno=15032 삼성, 글로벌 스마트폰 생산체계 대재편…베트남 물량 인도·印尼로 넘긴다 - 전자부품 전문 미 삼성전자가 글로벌 스마트폰 생산체계를 대대적으로 재편한다. 해외 휴대폰 생산기지 중 최대 규모인 베트남 공장에 집중된 생산량을 타 지역으로 분산하는 게 골자다. 이..
2021.11.19 -
Trendforce, 21년 1분기 스마트폰 출하량 3.42억대 예측
Trendforce가 금년 1분기 스마트폰 예측 결과를 내어놓았습니다. 금년 1분기는 3.42억대로 작년 동기 대비 25% 성장이 예상되며 삼성이 1위를 할 것으로 예측하였습니다. 화웨이는 미국 제재로 인하여 줄어들 것이 자명하며 샤오미가 부상하는 시나리오입니다. 2021년 코로나 사태 완화로 13.6억대 달성 및 9% 이상 성장이 전망되나 AP 및 DDI의 공급 문제가 가장 관건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2021.0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