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년 4월 10일의 IT 단신 뉴스

2025. 4. 10. 06:20중국 휴대폰

광고 클릭 부탁드립니다!

==================================================

 

 1. 닛산, 관세로 인한 타격

   -  닛산은 멕시코에서 미국으로의 최대 수출 규모를 가진 일본 자동차 업체

   - 관세와 노후된 라인업 문제로 재정난을 겪는 중

   - 멕시코에서 생산되는 인피니티 QX50과 QX55 SUV의 미국 내 신규 주문을 중단

     COMPAS 공장의 운영을 대폭 축소할 계획

https://han.gl/Sw1m6

 

 

 2. 화웨이, 중국산 장비 위한 특허 출원 및 칩 개선

   - Huawei는 AI칩 제조에서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트랜지스터 수를 줄여 전력 소비를 낮추는 특허 출원

   - 미국 제재로 첨단 장비가 부족한 가운데

     중국산 장비를 테스트하며 비용 효율적이고 간소화된 설계를 통한 칩 생산 개선 중 

https://han.gl/JKoP1

 

 

 3. 테슬라, FSD 확대와 로보택시 준비중

  - 테슬라는 4월 4일부터 EAP(Early Aaccess Program)을 확장해

    더 많은 운전자가 FSD 버전을 일반 출시 전에 테스트 가능

  - 피드백과 데이터를 통해 자율주행 성능을 개선해

    연내 오스틴에서 로보택시 서비스 출시를 본격 준비하고 있음을 시사

https://han.gl/XfYiE

 

Tesla expands Early Access Program (EAP) for early Full Self-Driving testing

Tesla expanded the elusive EAP program for more drivers to test versions of Full Self-Driving before they are widely released.

www.teslarati.com

반응형

4. 현대차, 자율주행차 '라이다'에서 '카메라'로 급선회

  - 송창현 포티투닷 대표 주도 카메라 전환··· 라이다보다 큰 비용 감수해야

  - 송 사장은 차세대 차량 플랫폼을 총괄하는 AVP 본부장을 겸직

  - 최근 공개한 아트리아 AI와 모빌리티 운영체제(OS) '플레오스'가 포티투닷의 생존을 건 마지막 승부수

https://www.thelec.kr/news/articleView.html?idxno=34494

 

현대차, 자율주행차 '라이다'에서 '카메라'로 급선회 -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현대자동차가 자율주행차 개발 전략을 '라이다 방식'에서 '카메라 방식'으로 전환하기로 했다. 현대차 자율주행차 공급망의 일대 변화가 예상된다. 카메라 센서로 사물을 인식하...

www.thelec.kr

 

5. [ASIA Biz] '엔지니어 보너스'....2000만명 기술자가 중국 경제 살린다

  - 대졸자 1200만…대학원 '공학' 전공 가장 인기

  - 젊고 저렴한 엔지니어…딥시크 탄생 토양

  - 전 세계 AI 연구자 절반이 '중국'서 배출

  - 고국으로 돌아오는 中과학자 '후학 양성'

https://www.ajunews.com/view/20250406085426895?utm_source=ajunews&utm_medium=view&utm_campaign=china_top

 

[ASIA Biz] '엔지니어 보너스'....2000만명 기술자가 중국 경제 살린다 | 아주경제

중국이미국과의 기술 패권 경쟁 속 과학기술 인재양성에집중하면서 기술인재가경제 성장을 견인하는 이른바 엔지니어 보너스 시대가 도래하고있다.인구 증가로 자연스럽게 경...

www.ajunews.com

 

6. SNS샷] "지브리 스타일로 바꿔줘"… 챗GPT 사용자, 2주 만에 120만명 돌파

  - 오픈AI가 지난달 25일 '챗GPT4o' 이미지 생성 기능 출시

  - 간 단한 명령만으로 원하는 스타일의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는점을 앞세워 AI 대중화 열풍

  - 애니메이션 화풍의 이미지를 생성해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공유하는 것이 유행

  - 사진을 통한 데이터 확보 목적도 있을 수가? 

https://www.ajunews.com/view/20250402104638532

 

[SNS샷] "지브리 스타일로 바꿔줘"… 챗GPT 사용자, 2주 만에 120만명 돌파 | 아주경제

"가족사진을 지브리 스타일로 바꿔줘"최근 며칠 사이오픈AI의 챗GPT로 인해카카오톡 프로필 사진이 너 나 할 것 없이 일본의 애니메이션 제작사 ...

www.ajunews.com

 

7. AI 기본법 가이드라인 논의 가속…업계는 “고영향 AI 기준·과기정통부 사실 조사” 촉각

  - 과기정통부, AI 기본법 5개 가이드라인 TF 꾸려
  - 고영향AI 기준은 논의도 없이 책무와 사실조사 등 논의 진행
  - 책무 TF에서도 미국과 EU 규제 법령부터 설명
  - 과기정통부 사실조사 권한도 업계 우려 목소리

https://www.etnews.com/20250407000299

 

AI 기본법 가이드라인 논의 가속…업계는 “고영향 AI 기준·과기정통부 사실 조사” 촉각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인공지능 발전과 신뢰 기반 조성 등에 관한 기본법(AI 기본법)' 하위법령과 가이드라인 마련에 속도를 내는 가운데 '고영향 AI 기준'과 '과기정통부 장관 사실조사 권한'에

www.etnews.com

 

8. 애플, 트럼프 관세 어떻게 돌파할까

  - 부품 제조업체와 제조사에 더 낮은 가격에 제품을 공급하도록 압력?

  - 일반적인 애플의 하드웨어 마진이 약 45%이므로, 이 중 일부를 포기?

  - 제품 가격 조정, 추가적인 공급망 변화를 추진할 가능성

https://zdnet.co.kr/view/?no=20250407083414

 

애플, 트럼프 관세 어떻게 돌파할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직격탄'을 맞은 애플이 어떻게 난관을 극복할 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애플은 중국 등 해외 공급망에 크게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상호관세가 부과될 경우

zdnet.co.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