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사 코멘트] 24년 12월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 추이

2025. 2. 5. 06:26중국 휴대폰

다음은 하나증권의 스마트폰 시장 코멘트입니다.

======================================================================

 

[하나증권 IT 김록호]

★24년 12월 스마트폰 판매량 잠정치: 
미국은 AI 도입 이후 증가세 전환 ★

안녕하세요.
하나증권 휴대폰 담당 김록호입니다.

24년 12월 스마트폰 판매량 잠정치 업데이트 드립니다.

글로벌 스마트폰 12월 판매량은 전년동월대비 1% 감소, 전월대비 5% 증가한 1억 626만대 기록했습니다. 

미국과 인도 외 전 지역에서 판매량 감소. 11월에 이어 전년동월대비 소폭 감소

다만, 글로벌 판매량 1억대 이상은 유지했습니다.

지역별로는 미국과 인도가 전년동월대비 3%, 1% 증가, 중국과 유럽은 2%씩 감소했습니다.

미국은 사이버 먼데이 프로모션이 12월에 진행되면서 수요가 이연된 영향으로 증가

인도는 신제품 출시 영향이 있었습니다.

중국은 예년보다 이른 시기에 시작된 광군제로 수요가 앞당겨져진 영향이 있었고

유럽은 주요 OEM 판매 부진 영향을 받았습니다.

중국 판매량은 전년동월대비 2%, 전월대비 6% 감소한 2,058만대 기록했습니다. 

예년보다 이른 광군제로 수요가 당겨졌기에 Apple과 Honor를 중심으로 

대부분의 OEM 판매량이 전년동월대비 감소했습니다. 

Huawei만 전년동월대비 18% 성장했는데, 이는 Mate 70의 출시가 12월로 전작대비 2개월 늦어졌기 때문입니다. 

2025년 1월 판매량은 중국의 6천 위안 이하 스마트폰 대상 보조금 정책으로 인해 전년동월대비 증가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점유율 1위는 Huawei(21%)로 Mate 70 출시 효과가 주효했습니다. 

점유율 2위, 3위는 각각 Vivo(16.5%)와 Xiaomi(16%)가 기록. Apple(15%)은 전년동월대비 20% 감소했습니다.

 12월 중국 내 점유율 상위 3위는 중국 OEM들이 차지했으며

Apple은 6개월 연속 전년동월대비 감소세 시현중입니다.

미국 판매량은 전년동월대비 3%, 전월대비 25% 증가한 1,270만대 기록했습니다. 

전년과 달리 사이버 먼데이 프로모션이 12월에 진행되고

통신사들이 프로모션을 더 길게 진행하면서 증가세 시현했습니다.

Apple 판매량은 전년동월대비 5% 증가했는데, 사이버 먼데이 프로모션을 통해 iPhone 16 판매량이 증가했기 때문입니다. 삼성전자는 전년동월대비 0.4% 증가. S 시리즈와 A 시리즈 판매량 모두 전년동월대비 유사한 수준입니다.

Motorola는 전년동월대비 24% 증가. Moto G 5G 2024 및 Moto G Play 2024의 판매 호조가 기여했습니다. 

인도 판매량은 전년동월대비 1%, 전월대비 2% 증가한 1,069만대 기록했습니다.

 중고가 세그먼트에서 신제품이 출시되며 업그레이드 수요를 자극해 전년동월대비 1% 증가했습니다. 

또한 Apple의 iPhone15 및 16 프로모션이 12월 내내 진행되면서 판매량이 전년동월대비 62% 증가한 영향도

 있습니다.

 Vivo 판매량은 전년동월대비 10% 증가, 효율적인 재고 관리와 하위 브랜드인 iQOO의 지속적인 채널 확장 영향입니다.

 

 Xiaomi 판매량은 전년동월대비 19% 감소. 이는 인도 전체 판매량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100~$199 세그먼트에서의 점유율 축소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100 미만 세그먼트에서 점유율 확대하며 전체 점유율 2위(17%) 기록했습니다.

삼성전자는 전년동월대비 20% 감소. 중고가 라인에서의 경쟁 심화로 전년동월대비 감소세 시현,

점유율은 14%로 3위입니다.

유럽 판매량은 전년동월대비 2% 감소, 전월대비 9% 증가한 1,531만대 기록했습니다. 

삼성전자, Apple의 부진으로 감소. 전월에 감소세로 전환된 이후에 감소폭 소폭 확대되어

향후 감소폭 확대 여부 확인 필요합니다.

Apple의 판매량은 iPhone16 수요 약세가 지속되면서 전년동월대비 9% 감소, 그럼에도 점유율 1위(32%) 유지했습니다.

삼성전자의 판매량은 $300~$599 세그먼트에서 점유율 축소되며 전년동월대비 5% 감소,

점유율은 2위(27%) 기록했습니다.

 

Xiaomi의 판매량은 14T 등 $300~$599 세그먼트에서 점유율 확대하면서 전년동월대비 2% 증가,

점유율은 3위(19%)입니다.

Apple 판매량은 전년동월대비 1%, 전월대비 17% 증가한 2,452만대 기록했습니다. 

중국과 유럽에서의 판매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미국과 인도에서의 판매 호조로

 전년동월대비 소폭 증가세를 시현했습니다. 

 

Apple의 판매량은 10월부터 2개월간 감소세를 보이다가 12월 증가세로 전환했습니다. 

이를 AI(Apple Intelligence) 효과로 단정하기 어렵지만,

 중국의 판매량 부진에도 전년동월대비 증가세 전환은 긍정적입니다. 

16 시리즈의 출시 4개월 누적 판매량은 3,718만대로 15 시리즈의 동기간 판매량을 1% 하회중입니다. 

 

이는 기본형과 Plus형 누적 판매량이 전작대비 2%, 12% 하회하기 때문이며

Pro 및 Pro max 판매량은 전작대비 1%, 2% 상회했습니다.

Pro Max와 Pro의 합산 비중은 65%이고, Pro Max 비중은 36%로 Pro보다 높게 유지했습니다.

삼성전자 판매량은 전년동월대비 7%, 전월대비 2% 감소한 1,820만대 기록했습니다.

 미국 외 전 지역에서 부진하며 전년동월대비 감소했으며

중저가 라인에서 중국 OEM들과의 경쟁 심화가 주요인입니다.

갤럭시 S24 시리즈 12개월 누적 판매량은 3,717만대(울트라 1,682만대, 플러스 714만대, 기본 1,320만대)로

S23 시리즈의 3,111만대(울트라 1,434만대, 플러스 568만대, 기본 1,108만대)를 19% 상회했습니다.

Z6 시리즈 6개월 누적 판매량은 521만대(플립 289만대, 폴드 232만대로)로

Z5 시리즈의 576만대(플립 366만대, 폴드 209만대)를 9% 하회했습니다.

반응형


Apple Intelligence 도입 후 미국 판매량은 증가세 전환. 향후 AI 효과와 

중국 보조금 정책 영향을 지켜볼 필요가 있습니다. 

글로벌 판매량은 1억대를 유지했으나, 2개월 연속 감소세를 시현. 중국과 유럽의 판매량 감소가 주요 원인입니다.

중국은 1월부터 6천 위안 이하 스마트폰 대상 보조금 지급하고 있어,

전년동월대비 판매량 및 출하량 증가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향후 해당 보조금 정책을 통한 재고 소진 여부가 핵심 관전 포인트입니다.

미국 판매량은 Apple의 AI 도입 후 증가세 전환. AI 효과로 단정하기 이르지만,

향후 증가세 유지 여부를 지켜볼 필요 있습니다.

유럽은 2개월 연속 감소. iPhone16 부진 영향. 갤럭시 S25 출시가 2월 초(S24는 1월말)이기 때문에

1월 판매량은 감소 전망입니다.

1월 체크 포인트는 AI 서비스 확대에 따른 iPhone16 판매량 변화 및 중국의 보조금 정책 효과입니다. 

건강 유의하시고, 지속 업데이트 드리겠습니다.

아래는 데이터 요약본입니다.

1. 글로벌 판매량 1억 626만대
MoM +5%, YoY -1%

미국 판매량 MoM +25%, YoY +3%
중국 판매량 MoM -6%, YoY -2%
인도 판매량 MoM +2%, YoY +1%
유럽 판매량 MoM +9%, YoY -2%

2. 삼성: 1,820만대 (MS 17%)
MoM -2%, YoY -7%

미국 MS 18% (전월 22%)
중국 MS 0.7% (전월 0.7%)
인도 MS 14% (전월 18%)
유럽 MS 27% (전월 27%)

3. Apple: 2,452만대 (MS 23%)
MoM +17%, YoY +1%

미국 MS 67% (전월 59%)
중국 MS 15% (전월 17%)
인도 MS 10% (전월 9%)
유럽 MS 32% (전월 31%)

4. Xiaomi: 1,363만대 (MS 13%)
MoM +2%, YoY -3%

중국 MS 16% (전월 19%)
인도 MS 17% (전월 15%)
유럽 MS 19% (전월 19%)

5. AI 도입 이후 미국 판매량 증가세 전환. 중국은 1월부터 보조금 정책 시행
미국은 AI 도입 이후 처음으로 증가세 전환. 아직 AI 효과로 단정하기는 이르지만, 판매량 증가세 전환은 긍정적
인도는 중저가 세그먼트 신제품 출시 효과로 전년동월대비 1% 증가
중국은 이른 시기에 진행된 광군제 영향으로 감소세 지속중. 다만 1월부터 보조금 정책 시행됐기에 증가세로 전환 전망
유럽은 삼성전자와 Apple의 부진으로 전년동월대비 감소 지속. 갤럭시 S24의 출시는 1월이었던 반면, S25의 출시는 2월이라 1월에도 전년동월대비 감소 유지할 전망
이후 체크 포인트는 AI 도입 이후 Apple의 판매량 증가 지속, 중국의 보조금 정책에 따른 재고 소진 여부
  
삼성전자, 중저가 라인에서 중국 OEM들과의 경쟁 심화중
Apple의 iPhone16 4개월 누적 판매량은 전작대비 1% 하회. 주로 기본형과 Plus 모델의 판매 부진 영향. Pro 및 Pro max는 전작을 각각 2%, 1% 상회
Xiaomi, Huawei 등 중국 OEM들의 중저가 라인 점유율 확대중


항상 감사합니다!

보고서 링크: https://vo.la/QxjwJn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