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보고서]삼성전기, 애플 카메라 모듈 Supply 진입 관련 코멘트

2020. 7. 23. 12:15중국 휴대폰

- 이베스트 증권의 코멘트 입니다.

삼성전기가 아이폰에 렌즈를 진입한다면?

  ● 삼성전기가 애플의 카메라 모듈 렌즈벤더 진입에 성공한 것으로 파악

  ● 채용 모델은 2020 하반기 모델(가칭 12), 2021 상반기 모델

    (가칭 SE), 2022 하반기 모델(가칭 12)등 아직 의견이 분분하나

    최소 2021 SE모델부터 진 입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

  ● 현재 애플의 렌즈 등록 벤더는 대만의 Largan Precision, Genius Electronic Optical, 일본의 Kantatsu등으로

      Largan이 메인, Genius Electronic Optical이 개발이원화 정도의 포지션을 구축 중

 

 

    삼성전기 vs LG이노텍

 

     ● 삼성전기에게 수혜로 작용되는 점은 확실하나 LG이노텍에게 악재로 작용하는 지는 아직 미지수

     ● 삼성전기의 경우 기존 삼성전자 및 중화 업체들의 렌즈단품 및 렌즈 모듈을 자체제작+ODM 하고 있었으므로,

         애플의 렌즈 벤더 진입 자체는 Q 탑라인 증가의 factor로 작용함.

         특히 렌즈 모듈의 경우 원가율이 30%~35%로 낮은 수준이기 때문에 Q증가로 인한

         영업레버리지 효과는 클 것으로전망됨.

 

   더 하여 애플이 periscope(광학줌) camera를 아이폰에 채용할 경우

   2019년 삼성전자가 인수합병한 이스라엘업체 Corephotonics가 상당수 patent를 확 보하고 있기 때문에

   상당히 유리한 고지를 확보할 가능성이 높음.

 

     ● 엑츄에이터를 제외한 순수 렌즈모듈 납품 단가는 현재 7p(7장의 플라스틱 렌즈모듈) 기준 $1.6정도로

          S20 Ultra모델에 탑재한다.

           따라서 삼성전기가 엑츄에 이터를 제외한 순수 렌즈모듈만 납품할 경우

           ($1.6+렌즈증가분 or 엑츄에이터 포함분) x Q(채용 모델 수)에 업사이드가 단기적으로 발생됨.

           추가적으로 광학줌 모듈이 탑재될 경우 현재 광학줌 단일 모듈의 +a가격은
            듀얼 기준 약 +$35수준으로 ($35+화소 증가분) x Q의 중장기적 모멘텀 역시 상존

 

     ● LG이노텍의 경우 중장기적 투자포인트로 광학줌 채용에 따른 P증가가 주요 모멘텀으로 여겨졌기 때문에

          삼성전기의 광학줌 모듈 참여 가능성은 LG이 노텍에겐 악재로 작용할 수 있음.

          하지만 이는 아직 확정된 바가 아니며, 애플의 광학줌 채용 시기 역시 불분명한 상황이다.

          더하여 렌즈 및 엑츄에이터를 삼성전기가 LG이노텍에 공급하고

           LG이노텍은 기존 모듈 어셈블리만 하여 납품할 가능성도 있기 때문에

           이러할 경우 LG이노텍의 중장기 투자 모멘텀 이 전혀 훼손되지 않음

 

반응형